쉽게 이해하는 코인 차트패턴 정리

코인 차트패턴의 분류는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추세가 지속되느냐, 바뀌느냐 아니면 어느 쪽으로든 갈 수 있느냐가 그것이다.
각기 지속패턴, 반전패턴, 양방향패턴이라고 일컫는다.

어떠한 차트패턴은 전혀 다른 분류임에도 비슷하게 보일 때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코인패턴 정리 썸네일
코인패턴 정리 썸네일

1. 더블탑 패턴

더블탑 패턴
더블탑 패턴

이중천정형이라고도 불린다.

정점을 찍은 후 지지선 수준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다시 한번 상승한 후에 하락추세로 바뀐다. 

세컨탑 때 거래량은 최고점을 찍고 감소한다.
숏을 잡을 때는 넥라인 깨진 지점에서 아래로 탑만큼의 범위에서 잡는다.
숏을 잡는 타이밍은 세컨드탑 후 상승추세가 이탈했을 때, 넥라인이 깨졌을 때, 넥라인에 리테스트할 때를 들 수 있다.

2. 더블바텀 패턴

더블바텀 패턴
더블바텀 패턴

더블탑의 반대이다. 상승세로 추세가 반전되는 패턴이다.
롱을 잡을 때는 넥라인 깨진지점에서 위로 바텀만큼의 범위에서 잡는다.
타이밍은 세컨바텀 이후 하락추세가 이탈했을 때, 넥라인이 깨졌을 때, 넥라인에 리테스트할 때를 들 수 있다.

3. 헤드앤숄더 패턴

헤드앤숄더 패턴
헤드앤숄더 패턴

헤드와 양쪽 숄더로 이루어진 패턴이다. 약세로 추세가 반전되는 패턴이다.
헤드앤숄더 패턴은 상승장에서의 패턴이다.

하락장에서 헤드와 양 숄더가 뜬다고 해도 여기서 다루는 헤드앤숄더는 아니다.
헤드앤숄더는 우상향의 패턴을 그린다.
숏을 잡을 때는 넥라인부터 아래로 헤드만큼의 범위에서 잡는다.
타이밍은 넥라인이 깨졌을 때, 넥라인에 리테스트할 때이다.

4. 역 헤드앤숄더 패턴

역 헤드앤숄더 패턴
역 헤드앤숄더 패턴

헤드앤숄더의 반대 패턴이다. 상승세로 추세가 반전되는 패턴이다.
역 헤드앤숄더는 하락장에서의 패턴이다.
롱을 잡을 때는 넥라인에서 위로 헤드만큼의 범위에서 잡는다.
타이밍은 넥라인이 깨졌을 때, 넥라인에서 리테스트하고 다시 상승할 때이다.

5. 라운딩바텀 패턴

라운딩바텀 패턴
라운딩바텀 패턴

둥근 바닥 패턴이다. 상승세로 추세를 전환하는 장기적 패턴이다.

넥라인이 깨질 때 혹은 리테스트한 다음이 타이밍이다. 

6. 컵앤핸들 패턴

컵앤핸들 패턴
컵앤핸들 패턴

상승세가 지속되는 패턴이다. 
롱을 잡을 때, 핸들의 최하점에서 컵의 깊이만큼의 범위에서 잡는다.
타이밍은 핸들로 결정한다. 핸들의 상승 저항선이 깨졌을 때가 진입시점이다. 핸들의 최하단을 손절점으로 잡는다. 

* 역 컵앤핸들은 컵앤핸들 패턴과 정반대이다.

역 컵앤핸들
역 컵앤핸들

7. 쐐기패턴

베이리시 쐐기패턴
베이리시 쐐기패턴
불리시 쐐기패턴
불리시 쐐기패턴

웻지패턴이라고도 한다.
저항성과 지지선이 모여드는 형태의 패턴이다.

추세가 전환될 때까지 거래량은 점차 감소한다. 상승하는 웻지와 하락하는 웻지가 있다. 
상승웻지는 하락세 반전의 신호이며, 하락웻지는 상승세 반전의 신호이다. 
상승웻지의 경우 지지선이 깨졌을 때 혹은 리테스트한 후에 숏에 들어간다. 깨진 지지선으로부터 쐐기의 하한까지의 범위에서 숏을 잡는다. 손절점은 쐐기의 탑이다.

8. 패넌트 패턴

베어리시 패넌트 패턴
베어리시 패넌트 패턴
불리시 패넌트 패턴
불리시 패넌트 패턴

 

패넌트란 좁고 기다란 삼각형의 깃발을 말한다. 매수·매도세의 힘겨루기를 통해 평균가를 찾아간다고 보는 패턴이다. 패넌트 패턴에서 거래량은 점차 감소한다. 강세장, 약세장 모두에서 나타난다.
불리시 패넌트와 베어리시 패넌트가 있다. 전자는 급격한 상승 후 패넌트 형태로 가격이 수렴한다. 후자는 급격한 하락 후의 패턴이다. 
불리시 패넌트의 경우 상단저항을 뚫을 때 롱을 잡는다. 패넌트 하방을 손절점으로 잡는다. 저항이 뚫린 지점부터 깃대만큼의 범위 내에서 목표가를 잡는다.
베어리시 패넌트는 반대다. 하단저항을 뚫을 때 숏을 잡는다. 패넌트 상단저항을 손절점으로 잡는다. 저항이 뚫린 지점부터 깃대만큼의 범위에서 목표가를 정한다.

9. 깃발패턴

베어리시 깃발패턴
베어리시 깃발패턴
불리시 깃발패턴
불리시 깃발패턴

깃발 모양의 패턴이다. 역시 불리시와 베어리시가 있다. 지속패턴이다.
불 깃발에서는 상단 저항 뚫었을 때 롱에 들어간다. 뚫린 지점부터 깃대만큼의 범위에서 목표가를 잡는다. 손절점은 깃발의 하한이다.
베어리시 플래그 패턴의 경우는 이와 반대이다.

10. 트라이앵글 패턴

디센딩 트라이앵글 패턴
디센딩  트라이앵글 패턴
어센딩 트라이앵글 패턴
어센딩 트라이앵글 패턴

지속패턴이다. 상승의 어센딩, 하락의 디센딩 패턴이 있다.
어센딩의 경우 상승하는 하단 추세선과 평평한 상단 추세선의 모습을 보인다. 매수 저점이 지속적으로 높아진다. 
디센딩 트라이앵글은 이와 반대의 패턴이다. 하단 추세선은 평평하고, 상단 추세선이 점차 낮아진다. 매도 저점이 지속적으로 낮아진다. 

* 시메트릭 트라이앵글

불리시 시메트릭 트라이앵글
불리시  시메트릭 트라이앵글
베어리시 시메트릭 트라이앵글
베어리시 시메트릭 트라이앵글